쌀의 도정 [milling, 搗精]에 대하여~ 쌀을 도정 [milling, 搗精] 한다는 것은 현미나 보리 등의 낟알로부터 외피(外皮), 즉 등겨를 제거하여 식용에 맞도록 가공하는 일을 의미한다. 쌀의 도정 [milling, 搗精]의 정도 측정은 도정도(搗精度)와 정백률(精白率)의 2가지 방법으로 표시하고있는데 도정의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에 대한 정확한 규정이 없다. ① 쌀의 빛깔에 의한 방법 ② 겨층의 박리(剝離) 정도에 의한 방법 ③ 도정 시간에 의한 방법 ④ 도정 횟수에 의한 방법 ⑤ 전기소모량에 의한 방법 ⑥ 생성되는 겨의 양에 의한 방법 등이 도정도(搗精度) 결정에 이용되고 있다. 쌀의 도정도(搗精度) 를 보면, 도정도 쌀겨층(미강, rice bran)의 박리 정도 1 분도미 현미기를 사용하여 왕겨층(과피)만 제거한 현미 1분도미 한 현미를.. 더보기 이전 1 다음